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신검진 시 배우자도 유급휴가! 2025년 ‘임신검진동행휴가’ 완벽 가이드

by 그냥걷는사람 2025. 7. 26.
300x250
300x250

예비아빠도 병원 함께 가면 유급휴가 가능하다고요?


안녕하세요, 그냥걷는사람이에요.


“검진은 엄마 혼자 가는 거잖아”라고 생각하셨나요?
2025년부터는 임신한 아내의 산전검진에 동행하면 남편도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어요.

이제 임신과 출산은 둘만의 일이 아닌, 함께하는 권리가 됩니다.


‘임신검진동행휴가’란 무엇인지, 누가 받을 수 있는지, 신청은 어떻게 하는지
최신 제도 내용을 상세하고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임신검진동행휴가란?

2025년 1월부터 시행된 제도로,
임신한 배우자의 산전검진에 배우자가 동행할 경우 유급휴가를 받을 수 있는 제도예요.
근로기준법 개정으로 신설되었으며, 정규직·비정규직 모두 신청 가능하고
중소기업 근로자도 예외 없이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제 병원 가는 길에 연차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

300x250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누가 받을 수 있나요?

  • 배우자가 임신한 모든 근로자
  • 배우자의 병원 산전검진에 동행할 경우
  • 근무형태와 기업 규모에 상관없이 모든 근로자에게 적용
  • 임신 중 1회에 한해 신청 가능

단, 병원 동행이 실제로 확인되는 경우에만 유급휴가로 인정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어떤 경우에 사용할 수 있나요?

임신 기간 중 정기 산전검진일에
배우자(예비아빠)가 동행하는 경우 해당 날짜에 1일 유급휴가를 신청할 수 있어요.
정기 진료 외에 임신부 상태가 위중해 긴급히 동행이 필요할 경우도 포함됩니다.
단, 출산 후 산후진료 동행은 해당되지 않아요.


휴가 기간 및 급여는?

항목  내용
휴가 일수 1일 (임신 중 1회만 가능)
급여 100% 유급휴가 (통상임금 지급)
신청 제한 동일 임신에 대해 1회만 가능
보장 방식 근로기준법 상 강제 이행사항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1. 산전검진 일정이 정해지면
  2. 소속 회사에 ‘임신검진동행휴가 신청서’ 제출
  3. 병원에서 검진 동행 확인서 또는 진료확인서 발급
  4. 회사에 서류 제출 후 유급휴가 사용

※ 신청 시, 배우자의 임신 사실과 병원 방문 일자, 진료 확인 내역이 포함된 서류가 필요합니다.
※ 고용노동부 또는 근로복지공단 사이트에서 휴가 신청서 예시를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728x90

사용 시 주의할 점은?

  • 휴가는 임신 중 1회에 한해 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일정을 정하세요.
  • 병원 방문 후 회사에 반드시 진료확인서 또는 동행 증빙자료를 제출해야 해요.
  • 출산 전 병가 또는 배우자 출산휴가와는 별도로 적용됩니다.
  • 사용하지 않은 경우 이월이나 보상은 불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받을 수 있는 지원은?

임신검진동행휴가 외에도

  • 배우자 출산휴가 10일 유급(분할 사용 가능)
  • 육아휴직 동시사용 가능
  • 임산부 근로시간 단축제도
    등 다양한 가족친화제도가 확대 운영 중이에요.
    고용노동부 누리집(https://www.moel.go.kr)에서 정책별로 확인해보세요.

 

 

그냥걷는사람의 마무리 한마디

 

아이를 함께 준비하는 첫 걸음,
‘함께 있는 것’만으로도 배우자에겐 큰 힘이 돼요.


이번 임신검진동행휴가는 단지 하루의 휴가가 아니라
부부가 함께 부모가 되어가는 과정에 정부가 손을 내민 따뜻한 변화입니다.


오늘 정보가 유익했다면 공감·구독과 함께
여러분의 응원 댓글도 남겨주세요.


언제나 사람답게 사는 정책을 소개하는 그냥걷는사람이었습니다.

300x250
300x25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