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 정책관련, 생활정보 이야기

내년부터 월급 얼마나 오를까? 최저임금 인상 핵심만 콕!

by 그냥걷는사람 2025. 7. 12.
300x250
300x250

안녕하세요, ‘그냥걷는사람’이에요.
드디어 2026년도 적용 최저임금이 확정됐어요.


시간당 1만 320원, 월 기준으로 보면 약 215만 6880원이에요.
이번 결정은 무엇보다 17년 만에 노사 합의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의미가 커요.

 

오늘은 내년부터 적용될 최저임금 내용과 함께,
누가 얼마나 영향을 받는지,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를 전해드릴게요.

2026년 최저임금, 얼마인가요?

2026년부터 적용되는 최저임금은
시간당 1만 320원, 올해보다 **290원 인상(2.9%)**된 수치예요.

월급으로 환산하면?
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 적용 시
월 215만 6880원이 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17년 만의 노사 합의…어떻게 가능했을까?

2025년 7월 10일, 최저임금위원회 제12차 전원회의에서
공익위원의 중재와 사용자·근로자 대표 간 협의를 통해
오랜만에 합의로 최저임금 결정이 이뤄졌어요.

 

특히 한국노총 소속 근로자위원들과 사용자위원이 중심이 되어
극적인 합의가 이뤄졌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죠.

 

민주노총 추천 위원 4명은 중재안에 동의하지 않고 퇴장했지만,
그럼에도 합의가 성사됐다는 점에서
현장의 분위기 변화가 느껴져요.


최저임금 인상률 2.9%, 체감은 어떨까?

2026년 인상률은 2.9%,
최근 몇 년간의 인상률에 비해 다소 낮은 편이지만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부담,
물가 상황 등을 고려한 중재 결과로 평가돼요.

 

구분  2025년  2026년 (인상 후)
시간당 임금 10,030원 10,320원
월 환산액 약 209만 6270원 약 215만 6880원
인상 폭 +290원 인상률 2.9%

이번 최저임금, 누구에게 영향이 클까?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에 따르면
최저임금 인상으로 직접 영향을 받는 근로자는 약 78만 2천 명(4.5%),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기준으로는
**290만 4천 명(13.1%)**에 이른다고 해요.

 

주로 단시간 노동자, 5인 미만 사업장, 아르바이트, 플랫폼 노동자에게
실질적인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왜 209시간으로 계산할까요?

최저임금 월 환산액 계산 기준은
1주일에 40시간 일하고, 1년에 주휴수당 포함한
월 평균 209시간이 기준이에요.

 

209시간 × 시간당 최저임금으로 계산하면
정확한 월급 기준액이 나옵니다.


알바생·신입·단시간 근로자라면 꼭 확인하세요

이번 최저임금 인상은
아르바이트생, 단시간 근로자,
신입사원 등 최저임금 수준을 받는 근로자에게 가장 큰 의미가 있어요.

 

사업주가 이를 지키지 않으면
법적으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니
급여명세서를 꼭 확인해보세요!


그냥걷는사람의 마무리 한마디

드디어 시간당 1만 원을 넘긴 최저임금,
작은 변화처럼 보이지만
많은 분들의 생활에 직결되는 중요한 변화예요.

 

내년 급여가 어떻게 바뀌는지 꼭 체크해보시고,
최저임금이 잘 지켜지고 있는지도 확인해보세요!

 

오늘도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으로 함께 해주세요 ♥


다음에도 그냥걷는사람이
생활에 꼭 필요한 정책 정보로 다시 인사드릴게요!

300x250
300x25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