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금 정책자금

2025년 경기도·인천·서울 노인 버스비 지원 정책 완전 정리: 시군별 신청법과 환급, 캐시백, 최신 K패스까지 안내해드려요

by 그냥걷는사람 2025. 7. 5.
300x250
300x250
2025년 경기도·인천·서울 노인 버스비 지원 정책 총정리 | 그냥 걷고 싶어서

2025년 기준, 어르신 교통비 지원 정책을 가장 정확하게 시군별로 모아

그냥 걷고 싶어서 블로그에서 정리해드려요

 

2025년 현재, 경기도와 인천, 서울의
노인 버스비 지원 정책은 시군별로 혜택과 신청 방법이 달라
정확한 정보 확인이 필수예요.


최근 AI 유튜브 등에서 “주민센터”로 가라고 안내하는
오류가 많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농협”·“축협” 영업점에서
신분증, 지패스(G-Pass) 카드, 농협 통장 지참 후
직접 신청해야 하니 꼭 참고하세요.


이 글은 2025년 최신 공공자료와
지자체 홈페이지, 복지로, 경기도 공식 자료,
현장 문의 내용까지 교차검증해
정확하게 정리했어요.


1. 경기도 시군별 2025 노인버스비 지원 정책: 어디서, 어떻게 신청할 수 있나요?

경기도는 31개 지자체 중 2025년 현재
20여 곳 이상에서 어르신 교통비 지원 정책을
직접 운영하고 있어요.
지원액, 나이, 한도, 신청처는 아래 표에서
정확히 확인하실 수 있어요.

시군명 지원 나이 연간 지원 한도 신청처 지원 방식

군포시 만 70세↑ 16만 원 농협 분기별 4만 원, 충전 후 환급
구리시 만 65세↑ 12만 원 농축협 월 10만 원 한도, 분기 3만 원 환급
안성시 만 65세↑ 월 80회 농협 무상 교통카드 발급, 분기별 환급
하남시 만 70세↑ 16만 원 농협 연간 환급, 최근 신설(2025년 적용)
의왕시 만 65세↑ 20만 원 농협 분기별 5만 원 환급
포천시 만 65세↑ 20만 원 농협/축협 분기별 5만 원 환급, 지패스카드 사용
여주시 만 65세↑ 월 80회 농협 선결제 후 계좌 환급, 지패스카드
연천군 만 65세↑ 20만 원 농협/축협 분기별 5만 원 환급, GPS카드
화성시 만 65세↑ 156만 원 농협/무상교통홈피 시내·마을버스 전액 환급, 월 25일 입금
남양주시 만 65세↑ 12만 원 농협/축협 분기별 3만 원 환급, 생일 도래 시 신청
성남시 만 65세↑ 16만 원 농협 분기별 환급, 지패스카드 사용
평택시 만 65세↑ 24만 원 농협 분기별 6만 원 환급, 다양한 버스 포함
안산시 만 65세↑ 16만 원 농협 분기별 4만 원, GPS카드 이용
과천시 만 65세↑ 120만 원 농협 분기별 30만 원, GPS카드
광명시 만 65세↑ 16만 원 농협/축협 분기별 4만 원 환급

지원정책이 없는 곳(2025년 기준):
오산, 가평, 의정부, 파주, 수원, 고양, 부천, 용인, 시흥, 김포, 양주, 광주 등
(이곳은 “K패스” 환급 정책만 가능)


2. 2025년 K패스(경기패스): 버스비 환급은 누구나 20%~53% 받아요

노인 버스비 별도 정책이 없는 시군,
혹은 소득·수급자 사유로 환급이 불리한 분들은
“경기패스(2025년 기준, K패스)”를 활용하면
교통비 일부 환급을 받을 수 있어요.

  • 65세 이상이 아니어도 나이 상관없이 가입 가능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시 일반 시민 20%, 저소득층 최대 53% 환급
  • 2025년 7월 1일부터는 “월 60회 초과분 100% 환급” 제도 추가
  • K패스 전용 카드 발급, 앱 등록 후 이용(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K패스앱 참고)

3. 인천시 2025년 노인 버스비 지원 및 특별 정책

인천 전체

  • 만 65세 이상 K패스·아이패스 등록 시,
    월 15회 이상이면 대중교통 캐시백 30% 환급
  • 70세 이상 운전면허 반납 시 10만 원 지급
  • 25개 섬(강화·옹진 등) 시내버스 요금 1,500원 균일(특별 요금제)
  • 강화군: 70세 이상 연 18만 원 지원(읍면사무소 방문, 교통카드 발급)

4. 서울시 2025년 노인 교통비 지원 현황

서울시 대부분 자치구는 별도 어르신 교통비 지원이 없어요.
(가짜정보 “주민센터 신청” 불필요)

  • 중구: 만 65세 이상 월 4만 원(버스·택시비) 지원, 주민센터 또는 전용 홈페이지 접수
  • 강남구: 중위소득 120% 이하 만 65세 이상, 연 24만 원, 주민센터 신청
  • 그 외 자치구(강서, 노원, 송파, 영등포 등)는 지원 없음, 할인·환급은 K패스(20%~)만 이용

서울시 전체: K패스 등록 시 누구나 환급 가능, 나이제한 없음


5. 신청 시 반드시 체크할 점(수급자/차상위 어르신 등)

  • 교통비 환급·캐시백 정책은 “소득”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은 반드시 주민센터 복지 담당자 상담 후 신청하는 것이 안전해요.
  • 정책마다 신청 연령, 한도, 환급 방식(카드, 계좌, 선결제 등) 다르니
    시군별 공식 홈페이지, 복지로, 농협, 축협에 전화 또는 직접 문의하는 것이 좋아요.

6. 2025년 기준, 노인 교통비 환급·지원 정책 비교표

정책명 연령기준 지원지역 지원내용/환급율 신청처 기타

시군별 버스비 지원 65~70세 이상 경기도 각 시군 연 12~156만 원 한도 농협/축협 분기별 환급
K패스(경기패스) 나이제한 없음 경기도·서울·인천 월 20%(저소득 53%) K패스 앱·카드 월 60회 초과 100% 환급(2025.7~)
인천 아이패스 만 65세 이상 인천광역시 전역 월 15회 이상 30% 환급 K패스 등록  
강화군 무상교통 만 70세 이상 인천 강화군 연 18만 원 읍면사무소 교통카드 발급
서울시(중구 등) 만 65세 이상 서울 중구/강남구 월 4만~연 24만 원 주민센터·홈피 소득기준 확인

7. 정책 미시행 지역(2025년 기준)은 K패스 환급을 꼭 활용하세요

오산, 가평, 의정부, 파주, 수원, 고양, 부천, 용인, 시흥, 김포, 양주, 광주 등
별도 버스비 지원이 없는 시군 어르신들은
K패스(또는 아이패스, 캐시백 환급)로
20%~53%의 환급을 받을 수 있으니
지자체 홈페이지, K패스 안내, 농협에서
정확히 확인하고 신청해 주세요.


마무리 안내: 2025년 최신, 정확한 정보로 신청하고 꼭 혜택 챙기세요

경기도, 인천, 서울의 어르신 버스비 지원 정책은
해마다 조건과 신청처가 바뀌고,
가짜정보 유튜브·SNS에서 주민센터 신청,
나이, 한도 등을 잘못 안내하는 경우가 많아요.


2025년 현재는 각 시군 농협·축협,
K패스 앱, 공식 홈페이지에서
정확하게 신청하셔야 하고,
소득·수급자라면 담당 복지사 상담도 필수예요.


정확한 정보는 꼭 “그냥 걷고 싶어서” 블로그에서
확인하고, 주변 어르신과 지인분들께도
정확하게 안내해 주세요.

 

 

300x250
300x250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