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청년도약계좌도 부분 인출 가능해졌어요!
2025년 7월부터 청년도약계좌가 한층 더 유연해졌습니다.
5년 동안 묶여 있어야 했던 제도에서, 조건부 ‘부분 인출’이 가능해지면서
청년들의 목돈 마련 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제도가 개선됐어요.
안녕하세요,
청년 정책을 쉽게 정리해 드리는 그냥걷는사람입니다.
오늘은 최근 약관 개정으로 바뀐 청년도약계좌의 인출 조건과
신용점수 가점 혜택까지, 꼭 알고 가셔야 할 핵심 내용을 전해드릴게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어떤 상품인가요?
청년도약계좌는 만기 5년 동안 자유롭게 납입하며
정부 기여금(월 최대 3만 3000원)과 이자 비과세 혜택을 함께 받을 수 있는
청년 대상 목돈 마련 저축 제도예요.
총급여가 일정 요건 이내인 만 19세~34세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 가능하고,
5년간 최대 약 5000만 원의 자산을 모을 수 있는 효과가 있어요.
가입자 수는 133만 명을 넘고, 유지율도 90%에 이를 만큼 인기가 높답니다.
2025년 달라진 핵심: 부분 인출 가능!
기존엔 중도 해지 외엔 출금이 불가능했죠.
하지만 이제는 조건을 충족하면 가입기간 중 단 한 번, 일부 인출이 가능해요.
구분 | 기존 | 2025년 이후 |
인출 가능 여부 | 불가 (중도 해지만 가능) | 가입 2년 이상 시, 1회 부분 인출 가능 |
인출 한도 | 없음 | 기존 납입금의 40% 이내 |
인출 시 혜택 | 없음 | 이자 지급 (단, 중도 해지 이율 적용) |
이렇게 바뀌었기 때문에
꼭 긴급 상황이 생겼을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어요.
단, 1회만 가능하니 신중하게 사용하셔야겠죠.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인출 방법은 어렵지 않아요
부분 인출을 원할 경우, 은행 앱 또는 영업점을 통해 신청 가능해요.
은행 앱에서는 비대면 인출 서비스도 지원돼서
시간이 없거나 방문이 어려운 분들도 편하게 이용하실 수 있어요.
단, 인출 시에는 중도 해지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자 및 세금이 적용되며
해당 금액에 대한 정부 기여금은 지급되지 않아요.
이 부분은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구분 | 인출금 이자 | 이자소득세 | 정부기여금 |
중도 해지한 경우 | 중도 해지 이율 | 과세 | 미지급 |
부분 인출 시 | 중도 해지 이율 | 과세 | 미지급 (인출 금액만 해당) |
3년 이상 유지하면 혜택은 그대로!
혹시나 중간에 해지하게 되더라도
3년 이상 성실히 납입하고 해지하면
비과세와 정부 기여금 일부 혜택은 받을 수 있어요.
이 경우 최대 연 7.64% 금리 수준의 효과를 누릴 수 있으니,
끝까지 못 가더라도 절반 이상만 유지해도 이득입니다.
성실 납입 시 신용점수도 올라가요!
2025년부터는 청년도약계좌 2년 이상 성실 납입 시,
신용점수에 자동으로 가점이 부여돼요.
조건 | 신용점수 가점 |
2년 이상 납입 + 800만 원 이상 | 5~10점 가점 (마이데이터 동의 없어도 적용) |
금융 이력이 부족한 청년들에게는
신용 점수 관리에 도움이 되는 반가운 제도입니다.
가입은 어떻게 하나요?
7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은 7월 1일부터 7월 11일까지 진행됐으며,
매월 초 신규 신청을 받습니다.
비대면 신청도 가능하며, 아래 은행 앱에서 신청하실 수 있어요.
청년도약계좌 취급 은행 |
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IBK기업은행, 농협은행 |
부산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경남은행, iM뱅크 |
더 자세한 신청 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누리집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미래를 위한 준비, 지금 시작해요
2025년 변경사항으로 청년도약계좌는
더 많은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제도로 개선되었어요.
긴급 상황에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신용 관리에도 도움이 되는 똑똑한 청년 맞춤형 저축 상품으로 거듭났죠.
만약 아직 가입하지 않으셨다면,
지금부터라도 관심을 갖고 도전해보세요!
그냥걷는사람의 마무리 한마디
청년도약계좌는 단순한 저축을 넘어
청년의 미래를 준비하는 든든한 기반이 되어주고 있어요.
오늘도 이런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구독, 잊지 마시고요 ♥
‘그냥걷는사람’은 다음에도 청년과 정책을 잇는 이야기로 돌아올게요!
'정부 정책관련, 생활정보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부산청년기쁨통장 신청 총정리 (5) | 2025.07.19 |
---|---|
네이버·카카오로 공공시설 예약 OK! 회의실·체육시설 간편해졌어요 (0) | 2025.07.18 |
헬스장·수영장도 소득공제! 2025년 문화비 공제 대상 첫 체육시설 포함 (1) | 2025.07.16 |
2025년 7월 평생교육이용권 2차 접수 시작! 성인 학습자 필수 정보 총정리 (0) | 2025.07.15 |
청년도 기업도 돈 받는다! 2025년 청년 근속 인센티브 신설 소식 (0) | 2025.07.15 |